English Chinese Japanese Login info@uwstar.com +852 2893-5300
  • CEO인사말
    회사정보&연혁
    네트워크(조직도)
    업무안내
    지사안내
    유니월드활동
    유니월드
  • 홍콩 법인설립
    세무회계
    은행업무
    홍콩공증
    홍콩법무컨설팅
    홍콩컨설팅
  • 중국 법인설립
    중국 회사관리
    세무회계
    취업비자
    기타업무
    기타운영지원
    중국컨설팅
  • 싱가포르 법인설립
    세무회계
    은행업무
    싱가포르공증
    싱가포르법무컨설팅
    싱가포르컨설팅
  • 무역대행
    지사대행
    결제대행
    옵션서비스
    유니월드트렌스
    무역&지사대행
  • 홍콩뉴스
    중국뉴스
    한국뉴스
    해외소식
  • 공지사항
    문의게시판
    찾아오시는길
    인재채용
    고객지원
  • 블로그
  • FAQ
  • 홍콩뉴스
  • 중국뉴스
  • 한국뉴스
홍콩법인 무료상담 신청하기

중국법인 무료상담 신청하기

해외소식
HOME > 해외소식

[영어원문/한글번역]메르스에 대처하는 법 - 홍콩은 어떻게 사스를 대처했는가?

유니월드 | 2015.06.08 16:45 | 조회 5257
  • 신고신고
  • 인쇄인쇄
  • 스크랩스크랩
  • 글꼴
  • 확대
  • 축소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 reached Hong Kong in March 2003.1 From 11 March up to 6 June, a total of 1750 cases had been identified, and during the same period 286 people died of the disease. Before the advent of SARS in Hong Kong, the nearby Guangdong Province in Mainland China had experienced an intense outbreak of the atypical pneumonia later termed SARS. This outbreak started in November 2002 and reached its peak in February 2003; up to 5 June 2003, Guangdong had recorded 1511 cases and 57 deaths. Later in April 2003, SARS cases were reported in other provinces and cities of Mainland China including Beijing, Shanxi, Neimonggol, Tianjin and Hebei. Up to 5 June 2003, Mainland China had a total of 5329 cases with 336 reported deaths. 

홍콩에서의 사스 : 우리가 배운 교훈은 무엇인가?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 (이하 사스)는 2003년에 홍콩에 상륙했다. 같은 해 3월 11일부터 6월 6일까지 총 1750개의 사례가 발견되었고, 같은 기간 동안 286명의 사람이 사망했다. 홍콩에 사스가 나타나기 전에, 옆 중국 내륙의 광동 지역에서는 나중에 사스라고 불리게 된 강렬한 이형 폐렴의 발발을 경험했다. 2002년 11월에 발병이 된 사스는 2003년 2월에 정점을 찍고, 2003년 6월 5일까지 광동 지역에서 1511개의 사례들과 57명의 사망자를 기록했다. 후에 2003년 4월에, 사스는 베이징, 산시, 네이멍구, 티엔진 그리고 허베이를 포함한 중국의 다른 도시와 지방들에서 발견되었다. 2003년 6월 5일까지 중국 내륙에서는 총 5359개의 사례와 366명의 사망자를 기록했다. 

From March onwards, SARS was detected in other countries and areas in the Asia-Pacific region. By the beginning of June, Singapore had had 205 cases with 28 deaths, Vietnam 63 cases with 5 deaths and Taiwan 686 cases with 81 deaths.

3월부터 사스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다른 나라와 구역에서 발견 되었다. 6월 초까지 싱가포르에서는 205개의 사례들과 28명의 사망자가, 베트남에서는 63개의 사례들과 5명의 사망자가, 대만에서는 686개의 사례들과 81명의 사망자가 발견 되었다. 

METHODS

The content of this paper was gathered from personal observations when attending conferences, seminars and video meetings on SARS, from academic staff in the University of Hong Kong, th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and the medical school in Guangdong, from clinicians in the Hospital Authority, and from public health professionals in the Department of Health who were either directly involved in the laboratory investigation, diagnosis and management of SARS patients or engaged in efforts to control the disease. Other sources were press reports, personal interviews and websites on SARS provided by the health and hospital authorities, the U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and the Centre for Disease Control in Mainland China.

방법 

이 논문의 내용은 학회, 세미나, 그리고 사스에 관한 비디오 리코딩 등을 통해 얻은 개인적인 견해 및 홍콩대학교, 중문대학교 그리고 광동에 있는 의과대학원의 직원들, 병원 당국의 임상의들, 그리고 직접 사스 환자의 실험실 조사, 진단 및 관리에 연루되었거나 질병을 제어하기 위한 노력에 참여했던 공공 보건 전문가로부터 나온 것이다.

다른 출처로는 언론 보도, 건강과 병원 당국, 미국 질병 관리 예방센터, 세계 보건 기구 (WHO) 와 중국 질병 통제 센터가 제공한 사스에 관한 개인 인터뷰 혹은 웹사이트 등이 있다.   

EPIDEMIOLOGY

The SARS epidemic in Hong Kong has gone through three phases. The first was an explosive outbreak in a teaching hospital, affecting a large number of hospital staff and medical students. This phase took place in March 2003. The second phase was an outbreak in the community as a result of the spread of infection from the hospital to the community. This reached its peak in early April 2003 when the disease affected a housing estate known as Amoy Gardens; a total of 329 residents in that estate came down with the disease and 33 died. The third phase began in early May, with continuing occurrence of the disease in eight hospitals and more than 170 housing estates throughout the city but with the daily number of new cases declining from double to single digits in mid-June (the time of writing).

역학 (疫學) 

홍콩에서의 사스는 세 단계를 거쳐 갔다. 첫 번째 단계는 2003년 3월 의과 대학 부속 병원에서 폭발적으로 발발되어서 엄청난 숫자의 병원 직원들과 의대생이 감염되었다. 두 번째 단계는 병원에서 지역사회로 확산이 되면서 지역사회에서의 발발이다. 2003년 사스는 4월 초에 Amoy Gardens 주택 개발 단지를 강타하면서 정점을 찍었다. 총 329명의 거주자가 병에 걸렸고, 33명이 사망했다.

세 번째 단계는 5월 초에 시작되었고, 홍콩 전역의 여덟 개의 병원과 170개 이상의 주택 개발 단지에서 지속해서 사스가 돌았지만, 하지만 새로운 일일 발병 사례의 수가 6월 중순에는 두 자릿수에서 한 자릿수로 하락했다. 

The first phase started when a professor from Guangzhou, who had been treating patients with atypical pneumonia in a Guangzhou hospital in Mainland China, visited Hong Kong in February 2003. He stayed at the Metropole Hotel in Kowloon on 21 February. The professor was already unwell when he travelled to Hong Kong and on 22 February he was admitted to the Kwong Wah Hospital in Kowloon. Later he died. From this first index case, 7 other people whose rooms had been on the same floor of the hotel contracted SARS, including 3 visitors from Singapore, 1 visitor from Vietnam, 2 visitors from Canada and 1 local person. Seemingly it was these 7 individuals who, having acquired the infection from the index case, transmitted SARS to Canada, Vietnam, Singapore, and elsewhere in Hong Kong. The local person was admitted to a teaching hospital, the Prince of Wales Hospital, at Shatin on 4 March 2003. From this patient the disease spread through that hospital, ultimately affecting over 100 medical and nursing personnel.

첫 번째 단계는 2003년 2월에 중국 본토의 광저우 병원에서 이형 폐렴 환자들을 치료하던 교수가 홍콩을 방문하면서 시작되었다. 그는 2월 21일 홍콩의 Kowloon 메트로폴 호텔에서 묵었다. 교수는 홍콩으로 여행하던 중 이미 건강이 좋지 않았고, 2월 22일 Kowloon에 있는 Kwong Wah 병원에 내원했지만 결국 사망했다. 첫 번째 사례에서, 교수와 같은 층에 있는 방을 썼던 3명의 싱가포르, 1명의 베트남, 2명의 캐나다 방문객들 그리고 현지인 1명을 포함한 7명의 다른 사람들이 사스에 걸렸다. 당시 병을 얻은 이 7명의 사람이 각기 캐나다, 베트남, 싱가포르 그리고 홍콩의 다른 지역에 사스를 퍼트렸다. 현지인은 2003년 3월 4일 샤틴에 있는 Prince of Wales 의과 대학 부속 병원에 입원하였고, 이 환자로 인해 병이 병원 전체로 퍼지면서 궁극적으로 100명 이상의 의료 및 간호 인력이 전염되었다.

Amoy Gardens

Phase 2 began in early April with the spread of SARS into the community. This was the time when daily new cases reached their peak. The severe outbreak in Amoy Gardens, a housing estate in Kowloon, began at this time. The index patient in this outbreak was a 33-year-old man who lived in Shenzhen and visited his brother in Amoy Gardens regularly. His chronic renal disease was being treated at the Prince of Wales Hospital. SARS symptoms developed on 14 March 2003. On that day and 19 March he visited his brother who owned a flat in Block E of the estate. He had diarrhoea and used the toilet there. His brother, his sister-in-law and 2 nurses who attended to him at Prince of Wales Hospital subsequently developed SARS. By 15 April 2003, there had been 321 SARS cases in Amoy Gardens, with an obvious concentration in Block E (41%).

두 번째 단계는 사스가 4월 초에 지역사회로 퍼지면서 시작되었다. 이때가 일일 발병 사례 수가 정점을 찍었을 때이며, Kowloon에 위치한 Amoy Gardens 주택 개발 단지에서의 심각한 발병도 이때 시작되었다. 첫 번째 환자는 Amoy Gardens에 살던 형제를 주기적으로 방문하던 션젼 시에서 온 서른세 살의 남자였다. 그는 Prince of Wales 병원에서 만성적인 신장 질환을 치료받았고, 사스 증상은 2003년 3월 14일 날 발견되었다. 증상이 발견된 그 날과 3월 19일, 그는 두 차례에 거처 Block E에 사는 그의 형제를 방문하였다. 그는 설사 증세를 보였고 거기 있는 화장실을 썼다. 그의 형제, 제수씨 그리고 Prince of Wales 병원에서 그를 담당했던 두 명의 간호사들이 차례로 사스에 걸렸다. 2003년 4월 15일까지, Amoy Garden에서, 특히 Block E으로 퍼지면서 (41%), 321개의 사스 사례들이 발견되었다.

A thorough local investigation, conducted by the Department of Health in collaboration with eight other government agencies, then indicated that environmental factors had played an important part in this outbreak. Each block at Amoy Gardens has 8 vertical soil stacks collecting effluent from the equivalent section on all floors. The soil stack is connected to the water closets, the basins, the bathtubs and the bathroom floor drains. Each of these sanitary fixtures is fitted with a U-shaped water trap to prevent foul smells and insects getting into the toilets from the soil stack. Clearly, for this to work, the U-traps must contain water. However, because most households were in the habit of cleaning the bathroom floor by mopping rather than flushing with water, the U-traps connected to most floor drains were probably dry and not functioning properly.

보건부와 여덟 개의 다른 정부 관계 기관에서 이행한 철저한 현지 수사는 환경적 요인이 질병 발발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고 발표했다. Amoy Garden의 매 블록에는 모든 층에서 오염된 물을 모으는 여덟 개의 수직 토관이 있다. 수직 토관은 화장실, 대야, 목욕탕 그리고 욕실 바닥 배수관에 연결되어 있으며 매 위생기구에는 수직 토관에서 악취와 벌레가 화장실로 새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U자 모양의 워터 트랩이 설치되어있다. 이 U자 트랩이 제대로 작동을 하려면 물이 필요하나, 대부분 가정집에서는 화장실 바닥을 물로 청소하는 대신 걸레를 사용 했기때문에, 대부분의 바닥 배수에 연결된 U자 트랩은 아마도 건조해서, 제대로 작동이 되지 않았을 것이다.

Laboratory studies indicate that many patients with SARS excrete coronavirus in their stools.As many as two-thirds of the patients in the Amoy Gardens outbreak had diarrhoea, so a very substantial virus load would have been discharged into the sewerage in Block E. Probably the index patient infected only a small group of Block E residents, with the remainder acquiring the disease via sewage, person-to-person contact and shared communal facilities such as lifts and staircases. These residents subsequently transmitted the disease to others both within and outside Block E through person-to-person contact and environmental contamination.

실험실 연구에 의하면 많은 사스 환자들이 대변에 코로나바이러스를 배출한다고 나타냈다. 많으면 Amoy Gardens의 환자들의 3분의 2가 설사를 하였고, 그 때문에 상당한 양의 바이러스 더미가 Block E의 하수도로 방출되었다. 아마도 인덱스 환자는 Block E 거주자 중 소수만 전염시켰을 것이고, 나머지는 오염된 물, 사람과 사람 간의 접촉 그리고 엘리베이터나 계단과 같은 공동 시설에서 병을 옮았을 것이다. 이 주민들은 그 뒤에 사스를 사람과 사람 간의 접촉과 환경 오염을 통하여 Block E 안팎의 다른 사람들에게 전염시켰다.

The bathroom floor drains with dried-up U-traps provided a pathway through which residents came into contact with small droplets containing viruses from the contaminated sewage. These droplets entered the bathroom floor drain through negative pressure generated by exhaust fans when the bathroom was being used with the door closed. Water vapour generated during a shower, and the moist conditions of the bathroom, could also have facilitated the formation of water droplets. The likelihood of exposure was enhanced by the small dimensions of the bathroom units (about 3.5 square metres). Virus-contaminated droplets could readily have been deposited on floor mats, towels, toiletries and other bathroom equipment.

마른 U자 트랩이 있는 욕실 바닥 배수관은 오염된 하수로부터 나온 바이러스를 지닌 작은 물방울이 주민들과 접촉할 수 있도록 길을 열어주었다. 이 물방울들은 화장실 사용 중 문이 닫힐 때 배기 팬에서 생기는 부압을 이용해 욕실 바닥 배수관에 유입된다. 샤워 중에 발생한 수증기, 그리고 화장실의 습기도 물방울의 형성을 촉진시켰을 수도 있다. 면적이 대략 3.5 제곱 미터가 되는 작은 욕실이 바이러스 노출의 가능성을 향상했다. 바이러스에 오염된 물방울들이 바닥 매트, 수건, 세면도구 그리고 다른 화장실 용품들에 손쉽게 붙었을 가능성도 있다.

The possibility of disease transmission by other routes—airborne, water-borne, infected dust aerosols—has been examined but there is neither epidemiological nor laboratory support for such mechanisms. A team of environmental experts from the WHO, visiting Amoy Gardens by invitation, agreed with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and also declared the buildings, now cleansed and disinfected, safe for habitation.6

다른 경로에 의한 질병 전파 가능성— 공기, 물, 오염된 분진 에어로졸—은 조사되었지만, 그 메커니즘을 증명할 수 있는 역학적이나 실험 연구 결과가 없다. Amoy Gardens에 의해 초청되어 세계 보건 기구 (WHO)에서 파견된 환경 전문가팀이 조사 결과에 동의하며, 지금은 빌딩들이 청소되고 소독되었기 때문에 살기 안전하다고 공표했다.

PREVENTION AND CONTROL

The prevention and control measures undertaken in Hong Kong include: (1) preventive education and publicity; (2) tracing the source of infection; (3) introducing five major control measures (compulsory isolation and surveillance of contacts, stopping school and university education sessions, exchange of epidemiological information between Hong Kong and Mainland China, temperature checking of travellers at points of entry and exit, district-wide cleansing campaigns); (4) strengthening collaboration and communication with Mainland China and the WHO; and (5) developing a quick diagnostic test for SARS.

예방 및 통제

홍콩에서 실행되는 예방 및 통제 수단은 다음을 포함한다:

 (1) 예방 교육 및 홍보 (2) 감염원 추적 (3) 5가지 주요 통제장치 도입 (강제 격리 및 접촉 방지, 학교 및 대학 교육 중단, 홍콩과 중국 간 역학 정보의 교류, 여행객들의 입국 및 출국 시 체온 점검, 전 지역에 걸친 클렌징 캠페인) (4) 중국과 세계 보건 기구(WHO) 간 소통 및 협력 강화 (5) 사스를 위한 신속한 진단법 개발

When the first few cases of SARS were identified, the Department of Health of the Hong Kong Special Administrative Region Government passed legislation to make SARS a notifiable infectious disease. Patients with SARS were isolated in the hospitals, and family or close contacts were kept under surveillance, initially at home but later in isolation centres where they were observed for 10 days.

최초의 사스 발병 사건 이래로, 홍콩 특별 행정구 정부의 보건부는 사스를 법정 전염병으로 등록하는 법을 통과시켰다. 사스 감염 환자는 병원에 격리되었으며, 가족 혹은 밀접한 관계가 있는 사람들은 초기에는 집에서, 다음에는 격리 센터에서 열흘 동안 감시하에 두었다.

The public health workers undertook the investigations of the source of infection and the tracing of contacts, and promoted application of control measures including the wearing of masks, strict adherence to personal hygiene, and disinfection and cleansing of affected households and housing estates. Incoming and outgoing travellers were screened for fever exceeding 38°C and were required to complete a health declaration form. Apart from their intrinsic value, these measures served to alert the public to the high infectivity of SARS and the need for preventive measures.

공중위생 작업자들은 감염원 조사와 접촉 추적에 착수하였으며 마스크 착용, 철저한 개인위생 고수, 감염된 가정과 주택 개발 단지에의 소독 및 살균과 청결 유지 등의 통제 수단 적용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였다. 출입국 과정에 여행객들은 체온이 38°C를 초과하는지 검사를 받고 건강 설문지 양식을 작성하도록 요구되었다. 본질적, 실질적 가치를 떠나, 이 방책들은 대중에게 사스의 강한 전염성과 예방책의 필요성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켰다.

In the middle of May 2003, when the epidemic began to slow down, the Government announced further measures. Three committees headed by senior government officials were established—one responsible for the overall cleansing campaigns and environmental improvements in the housing estates; a second for drawing up programmes to revitalize the economy of the city, including tourism, trade and employment; and the third to devise ways to promote community involvement and partnership in improving the physical, social and economic environments of the city. Additional funds were approved to support research on diagnosis, treatment, and vaccine development for SARS. A Centre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would be developed to strengthen surveillance, research, training and collaboration with other health authorities regionally and internationally.

2003년 5월 중순경, 유행병이 점차 사그라들 즈음에, 정부는 후속 조치 및 방안을 발표하였다. 3개의 정부 고위 관리들이 담당하는 위원회가 창설되었다. —첫째는, 주택 개발 단지들의 전반적인 위생 캠페인과 환경 개선을 담당하며, 둘째는, 도시 경제 재활성화를 위한 프로그램 계획을 세우며, 셋째는, 주민 참여와 도시의 물리적, 사회적, 그리고 경제적 여건 개선을 위한 협력을 추진하는 방안을 세우는 데 책임이 있다. 진단, 치료, 그리고 사스 대비 백신 개발을 위한 추가 자금이 승인되었다. 질병통제예방센터는 감시, 연구, 교육, 그리고 지역적, 국가적 타 보건당국들과의 협력을 강화하도록 개선되었다.

At the end of May, the Hong Kong Government of the Special Administrative Region appointed a committee of nine experts from the USA, the UK, Australia, Mainland China and Hong Kong to make recommendations on future prevention and control of the disease. I am a member of this team.

5월 말, 홍콩 특별행정구 정부는 차후의 질병 예방 및 통제를 위해 힘쓰도록 미국, 영국, 호주, 중국, 그리고 홍콩으로부터 총 9명의 전문가로 구성된 위원회를 설립하였다.

SHORTCOMINGS

The SARS outbreak reached epidemic proportions so quickly and explosively that the health and hospital authorities were unprepared. Initially there was an acute shortage of masks and protective clothing for the medical and health personnel, who were hard hit by the disease. Lack of epidemiological information about the disease hampered the prompt application of effective control measures. Because of inadequate communication, panic developed in the community and weakened cooperation and support from the public. Some contacts did not respond when the Department of Health asked them to attend for surveillance and quarantine. There were difficulties in designating hospitals for the isolation and treatment of SARS patients, because Hong Kong has no infectious-disease hospital as such. Since the wards of the general hospitals were not designed for patients with infectious disease, infection of healthcare staff became a serious issue. By June 2003, 386 medical, nursing and other healthcare workers in the hospitals and clinics had developed SARS and 8 of them (4 doctors, 1 nurse and 3 healthcare assistants) had died. Some hospital wards had to be closed temporarily, and general patients were transferred to other medical institutions to make way for the SARS patients. In the absence of a specific isolation centre for infectious disease, contacts were accommodated in holiday and recreation centres outside the city. Not being designed for the purpose, these were far from ideal. There was much evidence of distress among front-line healthcare workers and members of the public, many of whom were anxious, fearful and depressed. The SARS epidemic damaged not only health but also tourism, international travel and trade, social and business activity, and educational programmes.

결점

사스 발병이 굉장히 급속하고 폭발적으로 확산하였기 때문에, 보건 복지 당국은 준비가 채 되어있지 못했다. 초기에는, 질병으로부터 큰 타격을 입은 보건의료인을 위한 마스크와 방호복이 극도로 부족했다. 질병에 대한 역학적 정보의 부족은 효과적인 통제 수단의 즉각적인 적용 또한 지체시켰다. 부적절한 소통 때문에, 공포는 지역사회로 번져나갔으며 대중으로부터의 협력과 지원을 약화했다. 몇몇은 보건부의 방역 활동 참여 요구에도 불응하였다.

홍콩은 전염병을 위한 병원이 없으므로 사스 환자들의 격리와 치료를 위한 병원을 지정하는 데도 어려움이 있었다. 보편적인 병원들의 병실은 전염병을 가진 환자들을 위해 설계되지 않았기 때문에, 의료 종사자들의 감염 또한 심각한 문제가 되었다. 2003년 6월경, 총 386명의 병원과 클리닉에서 근무하는 의학, 간호 그리고 그 밖의 의료계 종사자들은 사스에 감염되었고, 그들 중 8명 (4명의 의사, 1명의 간호사, 그리고 3명의 의료계 조수가 사망했다. 몇몇 병동들은 일시적으로 폐쇄되었고, 일반 환자들은 사스 환자들로부터 멀리하기 위해 다른 의료 시설들로 후송되었다. 전염병을 위한 특정한 격리 센터의 부재로 인해, 주말이나 도시 밖의 여가 센터에서 연락이 이루어졌다. 이들은 목적에 맞지 않게 설계되어있어서, 이상적인 것과는 거리가 멀었다. 최전선의 의료계 종사자들과 일반 사회 구성원들의 고충을 말해주는 증거는 많았다. 그들 중 많은 인원이 불안해하였으며, 공포를 느꼈고, 우울해 하였다. 사스 유행병은 건강뿐만 아니라 국제 여행과 무역을 비롯한 관광사업, 사회적 경제적 활동, 그리고 교육 프로그램에도 피해를 줬다.

Several features of the epidemic rendered control measures difficult in Hong Kong. Initially the cause was unknown, and lack of information on the mode of transmission hampered efforts at control. Because of the large number of cases, patients were admitted into various general hospitals unequipped to handle highly infectious diseases and numerous medical and nursing staff became infected. The lack of isolation facilities allowed infection of patients admitted to the same wards for other reasons. Many patients when admitted to hospital did not have the typical signs of SARS (fever, cough, evidence of chest infection), thus worsening the difficulties of cross-infection control. At one point there was discussion whether a single specially equipped hospital with 600-1000 beds should be designated to cater solely for patients with SARS or with fever on admission. Another issue was whether there should be permanent and proper quarantine facilities for isolation of contacts. Surveillance of contacts at home was not considered effective.

유행병의 몇몇 특징들은 홍콩에서의 통제 수단을 어렵게 만들었다. 초기에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며, 전파양식에 대한 정보의 부족은 통제를 위한 노력에 걸림돌이 되었다. 많은 수의 사건들로 인하여, 고도의 전염성을 가진 병을 처리하기에 설비가 제대로 준비되어 있지 않았고, 많은 수의 의료 및 간호 직원들이 감염되어있는 일반 병동까지 환자들의 출입이 허가되었다. 격리 시설의 부족은 다른 이유로 같은 병실에 배치된 환자들의 감염마저 초래했다. 많은 환자는 병실에 배치되었을 때 사스의 전형적인 조짐 (열, 기침, 흉부 전염의 증세)를 보이지 않았기 때문에 교차 감염 억제의 어려움을 더 악화시켰다.

한편으로, 600~1,000개 정도의 침대가 있는 특수 장비를 갖춘 병원이 사스 혹은 열을 가지고 있는 환자들만을 위해 제공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토론이 있었다. 또 다른 이슈는 접촉 방지를 위한 영구적이고 적절한 격리실이 필요한지에 대한 논의였다. 집에 있는 감염자에 대한 감시는 효과적이지 못하였다.

A further controversy arose over the International Health Regulations (IHR). These specify three diseases—namely, cholera, plague and yellow fever—about which the WHO must be notified by the health authorities concerned. The city must then declare itself ‘infected’ with that disease until after twice the incubation period from the last case reported. At the beginning of the SARS epidemic there was doubt whether Hong Kong should declare itself infected with SARS. Although the existing IHR did not include SARS, the WHO had issued a warning notice advising travellers not to visit Hong Kong because of the SARS epidemic—an advisory that drastically reduced the number of international visitors. In May 2003, when the epidemic began to show signs of decline, the WHO set out three conditions for withdrawal of the advisory—no case of SARS spreading to other cities outside Hong Kong; number of new cases less than 5 daily for three days; and number of patients in the hospitals less than 60. At the end of May, the WHO deemed these conditions fulfilled and lifted its advisory on international travellers, though Hong Kong remained on the list of infected areas.

국제 보건 관리 규정(IHR)을 둘러싼 논란은 지속해서 늘어났다. 이들은 보건 당국으로부터 세계 보건 기구로 통보해야 하는 3가지 질병— 이름하여, 콜레라, 역병, 황열병—을 명시했다. 마지막으로 보고된 사건으로부터 2배의 잠복기 이후가 될 때까지 도시는 질병에 ‘감염되었다’고 자진 신고해야 한다. 사스 발병 초기에는 홍콩이 사스에 감염되었는지 자진 신고를 해야 하는지에 대한 의문이 있었다. 비록 기존의 국제 보건 관리 규정(IHR)은 사스를 포함하지 않았으나, 세계 보건 기구(WHO)는 관광객들에게 사스 전염병으로 인하여 홍콩을 방문하지 않도록 권유하는 경고장을 발행했다. —이 경고는 국제 방문객들의 수를 급격히 감소시켰다. 2003년 5월, 유행병이 점차 줄어드는 기세를 보일 때, 세계 보건 기구(WHO)는 경고장 철회를 위한 3가지 조건을 내걸었다. —홍콩 이외의 도시에게 사스가 전파되는 경우가 없어야 하며; 새로운 발병 사건의 횟수는 3일에 최대 5회 이하로 제한하며; 병원에 있는 환자들의 수는 60명 이하로 제한하였다. 5월 말, 비록 홍콩이 감염 지역 목록에 여전히 남아있음에도 불구하고, 세계 보건 기구(WHO)는 이러한 조건들이 만족하였다고 간주하고 국제 관광객들에게 권고했다.

In some circles the WHO is perceived to have over-reacted to the epidemic, causing unnecessary panic on the international scene and putting unjustified barriers in the way of persons from ‘infected’ areas wishing to attend such events as business exhibitions or international sports activities. It is noteworthy that, in May 2003, the World Health Assembly passed a resolution to revise the IHR. This was an appropriate decision since the emergence of new and highly infectious diseases has made the existing regulations out of date.

어떤 방면으로는, 세계 보건 기구(WHO)가 유행병에 대해 과잉 반응을 보여 국제무대에 필요 이상의 공포 분위기를 조성하며 비즈니스 전시관 혹은 국제 스포츠 활동과 같은 행사들에 참여하고자 하는 ‘감염된’ 지역의 사람들에게 정당치 못한 제한을 두었다고도 여겨진다. 2003년 5월, 세계 보건 총회(WHA)가 국제 보건 관리 규정(IHR)을 수정하는 결의안을 통과시킨 것은 주목할 만한 일이다. 새로운 감염성이 높은 질병의 출현은 기존의 규정들이 시대에 뒤떨어졌음을 증명하였기에, 이것은 적절한 결정이었다.

LESSONS LEARNED

The lessons learned by Hong Kong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얻은 교훈

홍콩이 배운 교훈은 아래와 같이 요약 된다:

  • SARS differed from previous epidemic infectious diseases in its explosive spread, which caught the health and hospital authorities by surprise and ill-prepared.

사스는 폭발적인 전염성으로 보건 복지 당국을 놀라게 하고 준비가 덜 됐다는 점에서 이전의 유행병들과는 다른 면모를 보여줬다.

  • Inadequate epidemiological information about the disease hampered the prompt application of effective control measures. Insufficient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led to panic and thus weakened public cooperation and support.

질병에 대한 부적절한 역학 정보는 효과적인 통제 수단의 즉각적인 적용을 지체시켰다. 대중과 부적절한 소통은 공포를 낳았으며, 대중의 협력과 지원을 약화했다.

  • Because there were no specified infectious disease hospitals, there were difficulties in designating hospitals for the isolation and treatment of SARS patients.

전염병을 위한 병원이 없었기 때문에, 사스 환자들의 격리와 치료를 위한 병원을 지정하는 데도 어려움이 있었다.

  • The SARS epidemic in Hong Kong not only affected the health of the people but also had social, economic, and humanitarian repercussions. It unveiled deficiencies in the public health arena and in coordination between the Department of Health and the Hospital Authority—reflected in lack of action between 22 February, when the index patient was admitted to Kwong Wah Hospital, and 4 March when the local contact arrived at the Prince of Wales Hospital. In that interval, the alarm could have been raised and front-line staff could have prepared themselves.

홍콩에서의 사스 전염병은 사람들의 건강뿐만 아니라 사회적, 경제적, 그리고 인도주의적인 면에서도 영향을 끼쳤다. 인덱스 환자가 Kwong Wah 병원에 입실했던 2월 22일과 지방 연계가 Prince of Wales 병원에 도착했었던 3월 4일 사이에 조치가 부족했던 점을 비추어 볼 때 공중 위생계 그리고 보건부와 병원 당국 협력의 부족함이 적나라하게 드러났다. 그 기간에, 경보가 울릴 수 있었으며, 최전방위 직원들이 준비할 수 있었을 것이다.

·         There was also deficient communication between the Secretary (Ministry) level responsible for health policy and the management level responsible for operation of the hospitals. Management inertia at various levels hampered decision-making and delayed implementation of effective measures.

보건 정책을 책임지는 장관급 인사와 병원 운영을 책임지는 관리계층 간의 소통 부족도 있었다. 다양한 단계에서의 관리 부족은 의사 결정 과정을 방해하고 효율적인 정책들이 이행되는 것을 늦췄다.

  • The SARS epidemic also shed light on basic failings of the existing healthcare system in Hong Kong—overcrowded wards; poor ventilation in some hospitals; lack of isolation facilities; inadequate intensive care facilities; staff already working under heavy pressure; difficulty in isolating and cohorting patients with suspected or possible SARS, particularly at the point of admission and immediately thereafter.

사스 전염병은 또한 홍콩의 현존하는 의료보험 제도의 근본적인 결함에 해결의 빛을 던져 주었다. —초만원인 병동; 환기가 잘 안 되는 몇몇 병원; 격리 시설의 부족;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으며 일하는 직원들; 특히 입원하는 시점 및 그 후 사스 의심 환자들의 격리와 집단의 어려움.

  • The effect of the outbreak on intensive care and nursing personnel was disproportionately high. This worsened the pressures on other branches, particularly during the recovery phase when normal services had to be resumed.

집중 치료 및 간호 인력에 관한 발발의 영향은 불균형적으로 높았다. 이것은 특히 일반 서비스가 재게 되어야 하는 복구 단계의 다른 분기점에 대한 압력을 악화했다.

  • Healthcare workers were put at special risk by certain procedures including use of nebulizers, endotracheal suction and intubatio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nasogastric feeding, and the use of high flow rates of oxygen.The high risk presented by these procedures has implications for medical practice and organization of hospital care in the future.

건강관리 직원들은 분무기, 기관지 흡인술, 삽관법, 심폐소생술, 튜브 섭식, 그리고 높은 유속 산소의 사용을 포함하는 수술 때문에 특별한 위험에 놓여있다. 이러한 수술들의 위험성은 미래의 의료 행위와 병원 간호 조직에 대한 영향을 가지고 있다.

  •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the exchange of epidemiological information on infectious diseases, especially the emergence of new infections, between the health authorities in Mainland China and Hong Kong. The establishment of a Centre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in Hong Kong should meet this need.

중국 본토와 홍콩 간 전염병, 특히 새로운 전염병의 출현에 대한 역학 자료의 교류를 강화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홍콩에서 질병 예방통제센터의 설립은 이러한 필요성을 충족시킨다.

Hong Kong will continue to face the challenges of infectious disease, because of increasing environmental pollution, population movements, the influx of refugees and immigrants, the emergence of new infections and the changing lifestyle and behaviour of the population.There is a great need to set up a Centre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in Hong Kong so as to strengthen surveillance and exchange of epidemiological information with other health authorities, to undertake research and development on new vaccines and to train medical and scientific personnel on prevention, treatment and control of infectious diseases. On the plus side, the epidemic created an unprecedented sense of unity among all sectors—Government,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medical and nursing personnel—in the struggle to contain the epidemic. Various foundations were set up by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and by public-spirited citizens to provide financial support to victims of SARS and their families. The devotion and self-sacrifice of medical and healthcare staff drew praise and appreciation from all sides, and strengthened the city's resolve to cope better with the challenges of infectious diseases in future. In this way, Hong Kong can be said to have turned the threats of the SARS epidemic into opportunities.

홍콩은 증가하는 환경오염, 인구 이동, 난민과 이민자의 유입, 새로운 전염병의 출현, 변화하는 생활 방식, 그리고 인구의 습성 때문에 계속해서 전염병의 문제에 직면할 것이다. 감시를 강화하고, 다른 보건 당국들과 역학 자료들을 교환하며, 연구하고, 새로운 백신을 개발하고, 예방을 위한 새로운 의학과 과학적 인원을 교육하고, 전염병들을 치료하고 통제하기 위하여 홍콩에 질병 예방통제센터를 설립해야 할 필요가 있다. 좋은 측면은, 전염병으로 인해 정부, 비정부 단체, 의료 및 간호 인력들이 전염병을 방지하기 위해 전례 없는 단결심을 보여주었다는 것이다. 비정부단체와 공공심이 있는 시민들이 많은 재단을 세워서 사스의 희생자와 그의 가족들에게 재정적으로 후원해 주었다. 의료와 건강관리 직원들의 헌신과 자기희생은 모든 곳에서 칭찬을 받았고 홍콩이 미래에 전염병에 더 잘 대체할 수 있도록 결의를 강화했다 . 이러므로, 홍콩은 사스 전염병의 위협을 기회로 바꾸었다고 할 수 있다. 

출처: Articles from Journal of the Royal Society of Medicine

번역: 유니 월드 서비스 Internship program임선정(홍콩 과학 기술 대학교)

 

태그 메르스, 사스, 홍콩메르스, 메르스예방, 홍콩, 메르스대처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수정 답변 삭제 목록으로
댓글 0개 | 엮인글 0개
10개(1/1페이지)
해외소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10 [한국뉴스] 해외 여행 시 나라별 주의해야 할 행동 사진 첨부파일 유니월드 4048 2016.10.09 17:58
9 [한국뉴스] 영양제 섭취 시 주의해야 할 나쁜 궁합 사진 첨부파일 유니월드 3880 2016.09.28 18:38
8 [한국뉴스] 베이징 한국 유학생, '인턴 비자' 신청 가능해졌다 첨부파일 유니월드 3528 2016.02.02 11:04
7 [한국뉴스] 법무부, 중국 복수비자 확대시행 첨부파일 유니월드 4576 2016.01.28 11:20
6 [한국뉴스] 아시아나, 내년부터 짐 무게 상관 없이 개수로 요금 부가 첨부파일 유니월드 3474 2015.12.04 15:25
5 [한국뉴스] B2B 전문 전시회 서울국제건축박람회 개최 사진 유니월드 3778 2015.09.02 17:24
4 [한국뉴스] [중국진출] 알리바바 글로벌화, 우리기업 중국 온라인쇼핑몰 (Tmall) 사진 첨부파일 유니월드 8627 2015.08.20 10:29
3 [한국뉴스] 부자 되는 비결? 답은 멀리 있지 않다 유니월드 3836 2015.08.05 14:10
2 [한국뉴스] 그리스 은행영업중단, '출자금' 가장 높은 은행은? 첨부파일 유니월드 4277 2015.07.03 15:02
>> [한국뉴스] [영어원문/한글번역]메르스에 대처하는 법 - 홍콩은 어떻게 사스를 대처했 사진 첨부파일 유니월드 5258 2015.06.08 16:45
글쓰기
처음목록 새로고침
처음페이지이전 10 페이지1다음 10 페이지마지막페이지
Unit 1101, 11th floor, Tower 1, Enterprise Square, No.9 Sheung Yuet Road, Kowloon, Hong Kong
Hong Kong TEL : (852)2893-5300 / E-mail : info@uwstar.com / Director : Na Jeong Ju
Copyright ⓒ2014 UNI-WORLD SERVICES COMPANY LIMITED All right reserved.